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BWT 방식 수출/BONDED WAREHOUSE TRANSACTION/보세창고도거래/보세창고인도조건..기간경과 선하증권 STALE B/L 은 ? BWT 방식은 위탁 판매 수출의 변형된 형태입니다. 위탁판매수출이란 간략하게 얘기하면 무상으로 수출하여 그 물품이 판매되는 범위내에서 결제하고 남은 잔량은 수출국으로 재송부하는 방식의 수출입니다. BTS방식은??? BONDED WAREHOUSE TRANSACTION의 약잔데 WAREHOUSE 가 있는 것을 보니 창고랑 연결되어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BONDED WAREHOUSE 가 바로 보세창고입니다.^^ TRANSACTION이 거래이니 그냥 풀이해보면 보세창고거래네요..ㅎㅎ 수출업자가 수입국에 지점등을 설치해 놓고 수입국 정부로부터 허가받은 " 보세창고" 에 상품을 입고한 뒤 수입국 현지에서 계약이 이루어지면 그 때 판매하는 방식입니다, 즉, 수입업차와 수출업자가 사전 계약이 체결되지 않은 상태.. 더보기 CWO, CAD, COD조건/CASH WITH ORDER, CASH AGAINST DOCUMENTS, CASH ON DELIVERY/서류상환불, 대금교환불/ 현금결제조건 오늘은 국제 매매계약에서 현금으로 직접 결제하는 방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호 돈다발이 보이니 행복하네요. 그럼 현금 결제 조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문과 동시에 현금을 지급하는 CWO 계약당시 요청한 서류와의 교환으로 현금을 지급하는 CAD 물품과 교환하여 현금 지급이 이루워지는 COD CWO 방식이란? CASH WITH ORDER (주문시 현금 지급, 단순현금결제) 영어로 보니 바로 답이 나오시죠? 맞습니다.. 주문과 동시에 바로 현금으로 결제가 이루어집니다. CAD방식이란? CASH AGAINST DOCUMENTS (서류 상환 지급, 서류상환불등) 계약시 요구된 서류와의 교환으로 현금결제가 이루어지는데 보통 선하증권등 선적서류와의 교환으로 결제가 이루어집니다. 이 방식은 수출지에 매수인의 지.. 더보기 Escalation Clause / 에스컬레이션조항/가격 조정 조항/신축조항..해외플랜트 사업 오늘은 Escalation /Adaptation clause 에 알아볼려고 합니다. Escalation 조항은 가격 조정 조항으로 보통 계약을 체결할 때는 고정된 가격에 하게 되는데 일정 기간이 경과 된 후 가격 조정을 할 수 있는 조항입니다. 계약에는 단발성 계약도 있고 해외플랜트 사업처럼 장기적인 계약도 있습니다. 이런 장기적인 계약에서 필요한게 바로 가격 조정 조항/ Escalation 조항입니다. 가격을 조정하는 방법은 일정기간 동안은 가격을 고정시키고 그 기간이 지나면 공공기관이 발표하는 노동 & 상품지수에 가격을 연동시킵니다. ^^ 보통 벌크화물, 원유나 농산물 등 그리고 계약기간이 긴 해외 철도 사업, 플랜트 사업, 건설사업등에 적용됩니다. 여기서 주의사항!! 이런 조항이 있다는것을 알고있어.. 더보기 Hardship clause/하드쉽조항/사정변경조항/이행곤란조항..계약변경요청!! 계약서 작성 시 주의해야 하는 조항 중 하나입니다. Hardship 조항은? 계약을 이행해야 하는 양 당사자에게 어떤 정치적& 경제적 문제가 발생하여 계약 이행이 곤란하니 계약 내용을 변경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는 조항입니다. " 당사자의 이행비용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당사자가 수령하는 이행가치를 감소시키는 이유로 계약의 형평성을 본질적으로 변경시키는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 hardship이 존재한다." 말이 어렵죠잉?? ㅋㅋ 예를 들면, 물품의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의 가격이 급등한 경우, 시장상황이 급변하여 그 물품의 가격이 급락한 경우 이런경우 계약대로 이행하면 손해가 막심하니 계약 내용을 변경해 달라고 요청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본질적으로 변경시키는 사건인지 아닌지 증명해야 하므로 이 또한 쉬운일은 .. 더보기 환율/EXCHANGE RATE..환율상승/수출기업유리/관광수지개선/증시하락,해외유학생등 . 요새 환율상승때문에 말이 많은데 환율에 대해 아주 기본적인 것들을 얘기하겠습니다. 항상 정의가 젤 중요하죠? 환율이란 자기 나라 돈과 다른 나라 돈의 교환 비율이라고 사전에 나와있네요. ^^ 통상 환율이 상승한다는 것은 원화가치가 하락하고 있다는 말과 같은 말인데요. (원화가치는 우리나라 돈의 가치를 말합니다.) 그럼 환율이 상승하면 무엇이 문제일까요? 환율이 상승하면 통상 수출기업한테 유리하다고 하는게 그건 왜 인지? 예를 들어 1000$짜리 기계를 수출하는 업체가 있다고 하면,(송금수수료등 제외) 1$에 1000에 수출하면 수출대금으로 1,000,000 1$에 1200에 수출하면 1,200,000 아무것도 한게 없는데 200,000원의 환차익이 생깁니다. 그럼 반대로 1000$짜리 기계를 수입하는.. 더보기 영문회의록작성방법 / MINUTES OF MEETING (MOM) MEETING!! 어릴적엔 이 단어만 봐도 떨리고 설레였는데.. 사실, 해외에서 미팅을 하다보면, 시차도 있고해서 머리속이 하얘지고 아무 생각이 없을 때가 있습니다. 말글대로 나는 누구? 여기는 어디? 그냥 멍~~~~해집니다. 그리고 미팅이 길어지면 잘 들리던 영어도 갑자기 안들리고 그래서 기계적으로 손이 움직이며 메모를 하는것 같아요. ㅜㅜ 미팅얘기를 하다보니 흥분이 되어서 나도 모르게 주저리 주저리..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서 영문회의록 작성 방법에 대하여 간략하게 포스팅할까 합니다. MOM for XXXX. (for 이하는 생략해도 무방!) Suject : 미팅의 주제 Attendees : 참가자 Name & Position 각 회사별로, 이름과 직위 명시 참가자가 많을경우 리스트를 만들어서 첨부해도.. 더보기 중계무역에서 사용되는 SWITCH B/L(스위치 비엘)의 의미! 오늘은 중계무역에서 많이 쓰이는 스위치 비엘, Switch B/L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WITCH B/L 이란? 중계업자가 원매도인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ORIGINAL B/L을 회수/SURRENDER하고 중계업자를 매도인으로 변경하여 발급받는 B/L을 말한다. 중계무역시 중계업자는 제조국에 있는 ABC사에게서 물건을 수입하여 DEF사에 수출하는 역할을 한다 즉 ABC 상대로는 수입자의 역할을, DEF 상대로는 수출자의 역할을 하게된다. 이 경우 선적지에서 ORIGINAL B/L이 발급되는데 이 B/L을 회수하고 다시 SWITCH B/L을 발급하게 되는 것이다. 즉 ORIGINAL B/L상에 나와있는 원 매도인을 노출하지 않기 위하여 중계업자의 요청에 의하여 선적지/수출지에서 선사가 발행한.. 더보기 중개 무역과 중계 무역의 차이..그리고 SWITCH B/L? 오늘은 너무나 비슷해서 정신안차리면 잘못 쓰고 있는 중개무역과 중계무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중개 무역 ( MERCHANDISING TRADE) 매도인과 매수인이 있고 그 사이에 제 3자인 중개인이 개입하는 무역 형태를 말합니다. 부동산 중개를 해주시는 공인중개사와 비슷한데, 중개인인 제 3자가 수출자의 물품을 수입자에게 알선 중개하고 그 대가로 중개 수수료( MERCHANDING COMMISSION )을 받습니다. 양당사자간 다리 역할을 하는 중개상을 통해 거래가 이루어지나 물품의 인도는 매도인이 매수인에게 직접하고, 대금결제 또한 매도인이 매수인에게 직접 합니다. 중개상의 역할이 단순 중개 알선에 지나지 않아 중개 수수료 역시 많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실제 매매계약은 한건이며 매도인과 매수인이 체결.. 더보기 이전 1 2 3 4 5 다음